농약 작용기작, 제대로 알고 사용해야 효과 두 배!

농사를 짓다 보면 다양한 병해충과 잡초 문제에 부딪히게 됩니다. 이때 농약을 사용하게 되는데, 농약 포장지에 적힌 알쏭달쏭한 기호들, 바로 ‘작용기작’에 대해 알고 사용하면 훨씬 효과적으로 병해충을 방제하고 농약에 대한 저항성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농약의 작용기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작용기작 뜻

작용기작(Mechanism of Action, MoA)이란, 농약이 특정 병원균이나 해충, 잡초에 영향을 미쳐 효과를 나타내는 고유한 원리나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농약은 해충의 신경계를 마비시키고, 어떤 농약은 병원균의 세포벽 합성을 막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이처럼 공격하는 방식이 저마다 다른데, 이 고유한 공격 방법을 ‘작용기작’이라고 부릅니다.

작용기작 분류

농약의 작용기작은 국제적인 기관(FRAC, IRAC 등)의 분류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나뉩니다. 살균제는 ‘가, 나, 다…’ 순서로, 살충제는 ‘1, 2, 3…’ 숫자로 표기하여 농업인들이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같은 기호로 묶인 농약들은 주성분이 다르더라도 공격하는 방식, 즉 작용기작이 같거나 매우 유사하다는 뜻입니다. 동일한 작용기작의 농약을 계속 사용하면 병해충이 그 공격 방식에 적응하여 죽지 않는 ‘저항성’이 생기기 때문에, 작용기작이 다른 농약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작용기작 표

농촌진흥청의 ‘농약안전정보시스템’ 홈페이지나 농약 판매처에서 제공하는 책자 등에서 작용기작 분류 표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표에는 각 기호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 어떤 계통의 약제들이 포함되는지 상세하게 정리되어 있어, 농약을 선택하고 사용할 때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 줍니다.

작용기작살균제

살균제는 병원균의 호흡, 세포벽 합성, 단백질 합성 등 필수적인 생리 기능을 억제하여 병을 예방하고 치료합니다. 대표적인 작용기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작용기작 1 (그룹: 가): 병원균의 핵산(RNA) 합성을 저해합니다. 주로 역병, 노균병 방제에 사용됩니다.
  • 작용기작 2 (그룹: 나): 세포 분열에 관여하는 미세소관의 생합성을 방해합니다.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등에 효과적입니다.

살충제 작용기작

살충제는 주로 해충의 신경계나 근육, 에너지 대사 과정 등을 교란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 작용기작 4a: 해충의 신경계를 비정상적으로 흥분시켜 마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진딧물, 총채벌레 등 흡즙해충에 효과적이지만, 꿀벌에 대한 독성이 강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작용기작 5: 4a와 유사하게 신경계에 작용하지만, 다른 부위를 공격하여 살충 효과를 나타냅니다.
  • 작용기작 6: 해충의 신경 및 근육 활동을 억제하여 마비시키고 결국 죽게 만듭니다.

이처럼 농약의 작용기작을 이해하고, 포장지에 표기된 기호를 확인하여 서로 다른 작용기작의 약제를 번갈아 사용하는 ‘교호살포’를 실천하는 것이 저항성 관리에 핵심입니다. 이를 통해 농약의 효과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건강한 작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농약 작용기작, 제대로 알고 사용해야 효과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