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감염병, 증상과 예방 수칙 알아보기

청명한 날씨가 이어지는 가을은 등산, 캠핑, 농작업 등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즐거운 야외 활동 중 예기치 못한 질병에 노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바로 가을철 감염병 때문입니다.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쉽지만, 자칫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미리 알고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가을철 감염병 3가지

가을철에 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감염병으로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이 있습니다. 이 질병들은 주로 설치류나 진드기를 통해 전파되며, 비슷한 초기 증상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쯔쯔가무시증: 진드기를 조심하세요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1~3주의 잠복기 후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심한 감기 몸살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징적인 증상은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가피)이며, 몸통부터 시작해 팔다리로 퍼지는 붉은 발진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풀밭에 앉거나 누울 때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렙토스피라증: 오염된 물을 피하세요

렙토스피라증은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이나 흙에 상처 난 피부가 닿아 감염됩니다. 태풍이나 홍수 뒤 고여있는 물웅덩이나, 젖은 흙에서 작업할 때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초기 증상은 독감처럼 갑작스러운 발열과 근육통이지만, 심한 경우 황달이나 신부전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신증후군출혈열: 들쥐를 멀리하세요

신증후군출혈열은 한타바이러스를 품은 들쥐의 배설물이 건조되어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입니다. 발열, 출혈, 신부전이 3대 주요 증상으로, 초기에는 역시 감기처럼 시작되지만 이후 전신에 출혈 반점이 나타나거나 신장 기능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습니다. 건조한 풀숲이나 산에서 활동할 때 위험이 큽니다.

가을철 감염병 예방을 위한 핵심 수칙

대부분의 가을철 감염병은 간단한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 피부 노출 최소화: 야외 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양말을 착용해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 기피제 사용: 진드기 기피제를 옷이나 노출된 피부에 사용하여 접근을 막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풀밭에 앉지 않기: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바로 앉지 말고, 반드시 돗자리를 사용합니다.
  • 귀가 후 조치: 집에 돌아오면 입었던 옷은 바로 세탁하고,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여 몸을 깨끗이 씻습니다.
  • 환경 관리: 농경지나 집 주변의 풀을 베어 설치류가 서식할 환경을 줄이고, 음식물 쓰레기 관리에 신경 씁니다.

만약 야외 활동 후 2~3주 이내에 고열, 두통, 발진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일반 감기라고 생각하지 말고 즉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의료진에게 최근 야외 활동 이력을 알리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가을철 감염병, 증상과 예방 수칙 알아보기